
마일스톤의 정의
마일스톤(milestone)이란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특정할 만한 건이나 표를 말한다. 예를 들어, 프로젝트 계약, 착수, 인력투입, 선금 수령, 중간보고, 감리, 종료, 잔금 수령 등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중요한 지점을 말한다.
<출처: 위키백과>
마일스톤의 예시
아래는 블록체인 Ethereum의 PoS 전환을 위한 Roadmap이다.
중간에 점과 함께 일정이 표시되어 있는 것들이 마일스톤이라고 할 수 있다.

이 처럼 마일스톤은 기간이 정해진 목표라고 생각하면 간단하다.
Gitlab의 마일스톤
Gitlab에서도 마일스톤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.
Issues > Milestones 로 접근하면 된다.

마일스톤 생성하기
상단의 New milestone을 누르면 새로운 마일스톤을 생성할 수 있다.
마일스톤 생성을 위한 화면을 아래와 같다.
- Title: 마일스톤의 제목
- Description: 마일스톤에 대한 설명
- Start Date: 마일스톤 시작 날짜
- End Date: 마일스톤 종료 날짜

마일스톤 메뉴로 이동하면 목록에 마일스톤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이슈 생성하기
New Issue로 새로운 이슈를 생성한다.

이슈 작성 후 하단을 살펴보면 Milestone 항목이 보인다.
해당 항목을 눌러보면 아까 추가한 마일스톤 제목을 확인할 수 있다.
이슈가 포함되어야 할 마일스톤을 지정한 후 이슈를 생성한다.

마일스톤에서 이슈 확인하기
아까 생성했던 마일스톤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하면, 아래와 같이 이슈가 포함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현재 상태는 Unstarted Issues (open and unassigned) 인데, 이슈에서 Assginee를 지정하게 되면 Ongoing Issues로 이동하게 된다.


이런 식으로 프로젝트 진행 시 중요 마일스톤을 미리 설정하고, 해당 마일스톤까지 처리해야 되는 이슈를 미리 생성해서 관리한다. 그러면 이슈 처리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마일스톤의 진행 사항을 파악할 수 있으며, 리소스 투입이 추가로 필요한지 또는 여유가 있을 경우 다음 마일스톤의 이슈를 가져와서 더 처리해도 될지를 파악할 수 있다.
'프로젝트 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lab] 이슈(Issue) 처리를 위한 브랜치(Branch) 생성하기 (1) | 2022.10.08 |
---|